최고의 싸움닭은 목계
자신의 감정을 완전히 통제할 줄 알고, 상대방에게 자신의 빛나는 광채나 매서운 눈초리를 보여주지 않더라도 상대방으로 하여금 무언가 근접할 수 없는 카리스마를 보여주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을 장자는 ‘목계지덕(木鷄之德)’을 가졌다고 합니다. ‘목계(木鷄)’란 ‘나무로 만든 닭’이란 뜻입니다. 나무로 만든 닭처럼 완전히 감정을 제어할 줄 아는 사람의 능력을 일컫는 말입니다. 고 이병철 전회장의 집거실에는 나무닭 그림이 걸려 있어다는 일화로 유명하다.
이 이야기 시작은 어느 왕이 투계를 몹시 좋아하여 기성자(紀渻子)란 사람에게 최고의 싸움닭을 구해 최고의 투계로 만들기 위한 훈련을 맡겼습니다. 기성자는 당시 최고의 투계 사육사였습니다. 맡긴지 십 일이 지나고 나서 왕이 사육사에게 물었습니다.
닭이 싸우기에 충분한가? 사육사는 이렇게 대답하였죠. “아닙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닭이 강하긴 하나 교만하여 아직 자신이 최고인줄 알고 있습니다. 그 교만을 떨치지 않는 한 최고의 투계라 할 수 없습니다.”
십 일이 지나 왕이 또 물었을 때 사육사는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아직 멀었습니다. 교만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이 소리와 그림자에도 너무 쉽게 반응합니다. 태산처럼 움직이지 않는 진중함이 있어야 최고라 할 수 있습니다.”
십 일이 지나 왕이 또 묻자 그는 “아직 멀었습니다. 조급함을 버렸으나 상대방을 노려보는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입니다. 그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려야 합니다.”
십 일이 지나고 또 묻자 “이제 된 것 같습니다. 이제 상대방이 아무리 소리를 질러도 아무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이제 완전히 마음의 평형을 찾았습니다. 나무와 같은 목계(木鷄)가 되었습니다. 닭의 덕이 완전해 졌기에 어느 닭이라도 그 모습만 봐도 도망갈 것입니다.”
望 之 似 木 鷄, 其 德 全
망 지 사 목 계, 기 덕 전
보기에 흡사 나무로 만든 닭과 같으니
그 덕이 완전하구나!
장자가 이 고사에서 말하고자 하는 최고의 투계는 목계(木鷄)입니다. 목계가 되려면 세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첫째 자신이 제일이라는 교만함을 버려야 합니다. 둘째 남의 소리와 위협에 민감하게 반응해서는 안 됩니다. 셋째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려야 합니다. 교만과 조급, 그리고 공격적인 눈초리를 완전히 평정한 사람의 모습이 목계(木鷄)의 덕을 가진 사람의 모습입니다.
어깨에 힘을 잠시 빼면 진정 최고가 됩니다.
望 之 似 木 鷄 其 德 全
바라볼 망, 갈 지, 닮을 사, 나무 목, 닭 계, 그 기, 어진 덕, 완전할 전
'++ 고사 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부지리 [ 漁夫之利 ] (0) | 2012.11.01 |
---|---|
糟糠之妻(조강지처) (0) | 2012.07.25 |
<논어>에서 군자를 배운다 (0) | 2010.04.29 |
몇년전 쯤에 대학생들이 뽑았던 사자성어 베스트 목록이다. (0) | 2009.11.02 |
주자십회(朱子十悔) (0) | 2009.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