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정보

남자에게 자신감을 주는 약초 [음양곽(淫羊藿)/삼지구엽초]

"삶의공강" 2009. 6. 17. 12:59

음양곽(淫羊藿);삼지구엽초 ; 남자에게 자신감(?)을 주는 약초

 음양곽











삼지구엽초 




삼지구엽초 꽃





우리나라에서는 매자나무과의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의 지상부를 쓴다. 중국에서는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 심엽음양곽(Epimedium brevicornum Maxim.:心葉淫羊藿), 유모음양곽(Epimedium pubescens Maxim.:柔毛淫羊藿) 전엽음양곽(Epimedium sagittatum (Sieb. et Zucc) Maxim.:箭葉淫羊藿), 무산음양곽(Epimedium wushanense TS Ying:巫山淫羊藿)을 사용한다. 일본은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중국 서천북부지방에서 양이 하루에 백 차례나 교미를 하고 나서도 이 약초를 먹고 다시 암놈을 찾아 다녔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음탕한 양을 흥분시킨다하여 음양곽(淫羊藿)이라고 하였다. 이때 곽이란 콩잎을 말하는데 이 약초의 잎이 그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이다. 삼지구엽초라는 이름은 줄기가 셋으로 갈라지고 끝에서 다시 셋으로 갈라져 9장의 잎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붙여졌다.


이 약은 냄새가 없으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따듯하다.[辛甘溫]


음양곽은 발기부전, 유정, 자궁냉증, 사지냉증, 피부마비, 구안와사, 건망증, 반신불수, 허리와 무릎 연약증, 고혈압, 소아마비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정액분비촉진, 혈압강하,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 혈당강하, 콜레스테롤강하, 면역기능증진, 진해, 거담, 평천, 진정작용, 억균, 소염작용, 닭의 대퇴골 생장과 단백다당 합성 활성화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줄기와 잎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줄기는 가늘고 원주형이며 표면은 황록색 혹은 담황색이고 광택이 있다. 줄기에 붙은 잎은 마주나기이고 2회 3출복엽이다. 작은 잎은 난원형으로 잎 끝은 약간 뾰족하고 끝에 달리는 작은 잎은 밑부분이 심장모양이고 양쪽의 작은 잎은 비교적 작으며 심장모양에 가깝다. 바깥편은 비교적 크고 귀모양을 나타내며 가장자리는 황색으로 자모(刺毛)와 같은 잔톱니로 되어 있다. 표피의 주맥은 7~ 9 줄이고 아랫부분에는 드문드문 가늘고 긴 털이 있고 그물맥이 뚜렷하다. 작은 잎자루는 길고 질은 빳빳하다.


다른 이름으로 강전(剛前), 건계근(乾鷄筋), 기장초(棄杖草), 방장초(放杖草),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 선령비(仙靈脾), 천량금(千兩金), 황련조(黃連祖) 등이 있다.

'++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발 지압법설명서  (0) 2010.01.15
각종 과일 및 육류식품 점수분포도   (0) 2009.06.30
잠잘자는 법 6가지  (0) 2009.03.11
북한의 실제 모습 재밌네요   (0) 2008.11.15
간단한 민간요법  (0) 2007.05.02